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지원으로 국내 소재·부품 기업의 AI 기술 경쟁력강화를 위해 협력기관(㈜멋쟁이사자처럼)과 함께 ‘나노소재 분야’의 AI 산업전문인력 역량강화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생을 모집하고 있습니다.
구분 | 교육대상 | 교육목표 | 교육내용 |
---|---|---|---|
리더 교육과정 |
나노소재 분야 기업의 경영진 및 임원(CEO, CIO 등) 또는 이에 준하는 관리자 | AI도입 촉진을 위한 인식 전환 및 활용 의지 제고 |
|
재직자 교육과정 |
일정 기간 나노소재 분야에 종사하여 전문 지식을 보유한 재직자 | 산업분야 AI도입(전환) 기획·검토· 운영 핵심인력 양성 |
|
AI융합 전문가 교육과정 |
해당 산업분야 종사자 또는 AI기반 디지털 전환에 관심 있는 AI·SW 개발자 및 컨설턴트(경력자) | 나노소재 분야 산업 도메인 지식을 갖춘 AI융합 인재 육성 |
|
※ 일정 및 세부사항은 “세부교육안내” 자료 참조
과정 | 세부주제 | 주요내용 | 교육효과 | |
---|---|---|---|---|
리더과정 |
나노소재 리더가 알아야 할 산업의 판을 바꾸는 AI (15H/3회) |
나노 소재 산업분야 AI도입을 위한 리더의 인식제고 및 도입 시 검토사항 및 리더의 역할 제안 |
|
|
재직자과정 | 1 | 제조공정 인공지능을 활용한 나노소재 · 부품 제조라인 고장 예측(48H / 3회) |
나노소재·부품 공정 과정의 기기별 센서 데이터를 통해, 이상을 예측하는 프로세스 학습 |
|
2 | 소재개발 사용 후 배터리 단면 이미지의 AI 분석을 통한 성능 및 수명 개선방안 도출(48H / 2회) |
복합소재 개발에 사용되는 나노복합소재와 필러 투입량의 변화에 따른 파괴강도, 인장-항복강도, 밀도 등의 정량 데이터 분석 및 AI 활용 최적의 소재 추출 학습 | ||
3 | 소재개발 미래모빌리티 경량·고강도 소재 탐색을 통한 부품 최적화(48H / 2회) |
CNN 기반 모델을 활용한 나노 소재 분산 데이터 품질 평가 및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, 결과 기반 실무 적용 방안 탐색 | ||
4 | 제조공정 나노 신소재 구조 분석과 분산 시뮬레이선(48H / 2회) |
배터리 이미지 AI 분석부터 배터리 성능 및 수명을 예측하는 프로세스 학습 |